본문 바로가기
법과보험

소득 없는 개인사업자,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어떻게 될까?

by 구월의구원 2025. 3. 22.

소득이 없는 개인사업자

개인사업자를 등록했지만, 실질적으로 소득이 없거나 사업을 쉬는 상태일 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어떻게 적용될까요?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이 이슈를 사례 중심 + 법령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.

소득없는 개인사업자
소득없는 개인사업자

1️⃣ 국민연금: 소득 없으면 자동 납부 안 된다?

국민연금은 사업자등록만으로는 자동 부과되지 않으며, 실제 소득 신고를 기준으로 보험료가 책정됩니다. 따라서 일정기간 동안 매출이 전혀 없거나, 소득금액이 일정 기준 이하라면 국민연금 납부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  • 소득이 없을 경우 → 납부예외 신청 가능
  • 소득 발생 시점 → 국민연금공단에서 자동 가입 통지
  • 사업자 등록만으로 자동 부과되지 않음

2️⃣ 건강보험: 피부양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될까?

건강보험은 다릅니다. 개인사업자 등록만으로도 피부양자 자격 박탈이 될 수 있으며, 이는 소득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적용됩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직전 과세자료 기준으로 소득 및 재산을 확인하여 지역가입자로 전환합니다.

구분 소득이 없을 경우 소득이 발생할 경우
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 가능 소득 기준에 따라 자동 부과
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상실 가능성 높음 지역가입자로 전환 및 보험료 부과

📌 관련 기관 링크

 

 

정부24

 

www.gov.kr

소득 떄문에 고민중
소득 떄문에 고민중

 
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사업자는 냈지만 매출이 0원이면 어떻게 되나요?

국민연금은 납부예외 신청이 가능하며, 건강보험은 피부양자 자격을 상실하고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.

Q. 건강보험료는 언제부터 나가게 되나요?

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 다음 달부터 보험료가 부과되며, 과세자료에 따라 추후 조정될 수 있습니다.

Q. 일정 기간 후 소득이 생기면 자동으로 신고되나요?

네, 세무서에 부가세 및 종합소득세 신고가 되면 해당 정보가 국민연금공단과 건강보험공단으로 전달되어 자동 반영됩니다.

문제해결
문제해결

✅ 마무리 요약

개인사업자를 냈다고 해서 무조건 보험료가 부과되는 건 아닙니다. 하지만 건강보험의 피부양자 자격은 주의가 필요합니다. 현재 상황에 따라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건강보험 자격 유지 여부를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