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개인사업자에서 법인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인정받을 수 있다
근무 중인 사업장이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사업자로 전환되었더라도, 대표자가 동일하고 업무 연속성이 인정된다면 간이대지급금 신청 시 ‘동일 사업장’으로 간주됩니다. 따라서 원칙적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.
✅ 간이대지급금 신청 주요 조건
-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에서 퇴사한 근로자
- 6개월 이상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한 이력이 입증되어야 함
- 급여 이체내역, 근로사실확인서 등으로 근무사실 증명 가능해야 함
- 대표자 동일, 사업장 주소 동일 시 개인 → 법인 전환도 인정
📎 법인 전환 시 유의할 점
사업자등록번호가 바뀌더라도, 대표자가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계속 근무했다는 사실이 증빙되면 ‘단절 없는 고용’으로 판단됩니다. 중요한 것은 근무연속성과 입증자료입니다
.
🔐 입증 가능한 서류 예시
- 급여 통장 내역
- 출퇴근 기록 또는 출근부
- 대표자 확인 근로사실확인서
- 사업자 전환 전후 계약서 또는 동일한 업무 증빙
❓ FAQ: 자주 묻는 질문
Q1. 법인 전환되면 새로운 사업장으로 간주되는 건가요?
원칙적으로는 사업자번호가 바뀌면 다른 사업장으로 보지만, 대표자와 장소, 업무가 동일하면 연속성 인정됩니다.
Q2. 6개월 기준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
개인사업자 근무 기간 + 법인사업자 근무 기간을 합산합니다. 단, 중간 퇴사나 단절이 없어야 합니다.
Q3. 어떻게 신청하나요?
고용보험 사이트에서 간이대지급금 신청이 가능하며, 관할 고용센터 방문 후 상담 및 서류제출이 일반적 절차입니다.
🔍 핵심 요약
- 대표자 동일하고 근무 연속성이 입증되면 간이대지급금 신청 가능
- 개인 → 법인 전환 시에도 6개월 기준 충족 시 인정
- 급여 입금 내역, 출근 기록 등 입증자료 필수
-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
📌 사업장의 형태가 바뀌었더라도 실제 근무 내용이 유지됐다면 간이대지급금 신청이 가능합니다. 단, 서류 준비가 핵심입니다.
반응형
'법과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야외주차장에서 정차 중 발생한 접촉사고도 민사소송에서 충분히 승소할 수 있다 (0) | 2025.06.16 |
---|---|
혼인 중 불륜 관계가 있었다면 이혼 후에도 상간남 소송은 제기될 수 있다 (1) | 2025.06.15 |
입영통지서를 받은 이후에도 해외여행 하는 법 (5) | 2025.06.13 |
근저당 말소 신청 후 수령해야 할 서류는 이것으로 끝이다 (1) | 2025.06.12 |
신용불량자 주소지 등록과 통장개설은 이렇게 진행해야 한다 (2) | 2025.06.11 |